알라 데미도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라 데미도바는 러시아의 배우이자 작가로, 1936년 모스크바에서 태어났다. 1962년 영화 배우로 데뷔하여, 다양한 영화와 연극에 출연하며, 특히 안드레이 타르콥스키의 《거울》에 출연하여 이름을 알렸다. 타간카 극장 시절 블라디미르 비소츠키와 함께 활동하며 예술적 실험을 했으며, 1980년대에는 시 낭송 쇼를 통해 새로운 장르를 개척했다. 데미도바는 소련 국가상, RSFSR 인민 예술가 칭호, 니카상, 골든 이글상 등을 수상했으며, 2014년까지 연극에 관한 여러 권의 책을 출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니카상 여우주연상 수상자 - 인나 추리코바
인나 추리코바는 소비에트 및 러시아의 배우로, 다양한 영화와 드라마에 출연하며 명성을 얻었고, 베를린 국제 영화제 여우주연상 수상 및 렌콤 극장 무대 배우로도 활동했으며 2023년 사망했다. - 니카상 여우주연상 수상자 - 사말 예슬랴모바
사말 예슬랴모바는 카자흐스탄 출신의 배우로, 영화 《튤판》으로 데뷔하여 칸 영화제 주목할 만한 시선상을 받았으며, 영화 《아이카》로 칸 영화제 여우주연상과 니카 국립 영화상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 소련의 여자 연극 배우 - 이타 에베르
이타 에베르는 에스토니아의 배우로, 안톤 한센 탐사레, 애거사 크리스티 등 유명 작가들의 연극 작품에 출연했으나 영화 출연작은 아직 없다. - 소련의 여자 연극 배우 - 인나 추리코바
인나 추리코바는 소비에트 및 러시아의 배우로, 다양한 영화와 드라마에 출연하며 명성을 얻었고, 베를린 국제 영화제 여우주연상 수상 및 렌콤 극장 무대 배우로도 활동했으며 2023년 사망했다. - 모스크바 출신 배우 - 마리야나 스피바크
마리야나 스피바크는 러시아 배우로, 2010년대 모스크바 드라마 극장에서 연극 배우로 활동하며 다수의 연극에 출연했고, 2011년부터는 여러 영화와 2007년부터는 다양한 텔레비전 프로그램에도 출연했다. - 모스크바 출신 배우 - 알라 나지모바
알라 나지모바는 러시아 출신으로 모스크바 예술극단에서 연기를 시작해 브로드웨이에서 성공한 후 할리우드에서 무성영화 스타가 되었으며, 자신의 제작사를 설립하여 혁신적인 영화를 제작하고 파격적인 사생활로도 유명한 배우, 영화 제작자, 각본가이다.
알라 데미도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알라 세르게예브나 데미도바 |
출생일 | 1936년 9월 29일 |
출생지 | 소비에트 연방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모스크바 |
직업 | 배우, 작가 |
활동 기간 | 1962년–현재 |
배우자 | 블라디미르 발루츠키 |
웹사이트 | demidova.ru |
수상 | |
수상 내역 | 소련 국가상 (1977년) 러시아 인민예술가 (1984년) 조국 공헌 훈장 (4급, 2007년) 우정훈장 (1997년) |
2. 생애와 경력
알라 데미도바는 1936년 9월 29일 모스크바 자모스크보레치예에서 태어나, 오시펜코(현재 사도브니체스카야) 거리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그녀의 아버지 세르게이 알렉세예비치 데미도프는 러시아 산업가 데미도프 가문의 상속자였다.[2] 1932년 대숙청 과정에서 투옥되었지만 곧 무죄로 석방되었다. 1941년 그는 자원하여 붉은 군대에 입대하여 1944년 바르샤바 근처에서 전사했다.[3] 알라의 어머니 알렉산드라 드미트리예브나 데미도바(옛 성은 하르첸코)는 모스크바 대학교 경제학과에서 근무했으며(나중에는 사이버네틱스 및 경제 프로그래밍 부서에서 근무),[4] 어머니와 딸은 제2차 세계 대전 기간을 모스크바 동쪽에 있는 블라디미르에서 보냈다. 데미도바는 "어린 시절 주변 사람들로부터 받은 사랑이 너무 적어서 그 시절을 좋게 기억하지 않는다"고 나중에 고백했다.[5] 그녀는 학교의 아마추어 무대에서 배우로 데뷔하여 첫 성공의 맛을 보았다.[3] 학교에 다니면서 데미도바는 유명한 모스크바 배우 타티야나 셰킨-크로토바의 연극 강좌에 참여했다. 졸업 후 보리스 슈킨 연극 학교에서 시험을 봤지만 발음 문제[5]로 불합격하여 모스크바 대학교 경제학부에 입학했다. 1959년 졸업 후, 그녀는 대학교 철학부에서 정치 경제학을 가르치기 시작했다.[6][7] 그 전, 3학년 때, 그녀는 이고르 립스키가 처음 이끌었고, 그 다음 롤란 비코프가 이끄는 대학생 극단에 합류했다.[8] 롤란 비코프의 지도 하에 1958년 데미도바는 파벨 코호우트의 연극을 각색한 ''그런 사랑'' (Takaya lyubov)에서 리다 페트루소바 역으로 무대 데뷔를 했다.[9] 두 번째 시도 끝에 슈킨 학교에 입학한 데미도바는 배우 안나 오로치코의 반에서 공부하기 시작했는데, 안나 오로치코는 그녀의 젊은 제자를 가지고 실험을 했으며, 40년쯤 후에 여배우가 다시 연기하게 될 햄릿 역을 연기해야 한다고 제안하기도 했다.[8] 슈킨 연구소에서 공부하면서 데미도바는 바흐탄고프 극장의 ''신의 죽음'' (Gibel bogov), ''투란도트 공주'', 그리고 ''요리사'' ("Stryapukha")에서 공연했다. 그때 그녀는 프랑스 극장 전문가 장 빌라르의 눈에 띄었고, 그는 그녀가 체육관에서 펜싱하는 것을 본 후 국립 민중 극장에 합류하라고 제안했지만, 그녀는 그 제안을 거절해야 했다.[10] 슈킨 무대에서 그녀는 알렉산드르 아피노게노프의 ''먼 것들'' (Dalyokoye)에서 주연을 맡았고, J. B. 프리스틀리의 동명 연극을 각색한 ''미스터 케틀과 미세스 문의 스캔들 사건''에서 문 부인 역을, 유진 마린 라비슈의 ''프리제트''에서 프리제트 부인 역을 연기했다.[9] 1957년 데미도바는 자카르 아그라넨코 감독의 ''레닌그라드 교향곡''으로 스크린 데뷔를 했다. 그 후 ''1년의 9년'' (미하일 롬 감독, 1961), ''상대성 이론이란 무엇인가?'' (세묜 라이트부르크, 1963) 및 ''코마스크'' (1965)가 이어졌고, 그녀는 나중에 이 영화들을 "나의 정찰대"라고 불렀다.[11]
1964년 데미도바는 위리 류비모프가 각색한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세츠완의 착한 사람''에서 영 부인 역을 연기하며 슈킨 연구소를 졸업했다.[3] 배우 보리스 크멜니츠키는 나중에 "그녀의 역할은 주변적인 것이었지만, 그것은 중요하지 않았다. 그녀의 물리적 존재감의 효과는 엄청났다."라고 회상했다.[12] 이 젊은 여배우는 바크탄고프 극장으로 돌아가려다 실패했고, 어떤 역할도 맡지 못한 채 마야코프스키 극장에서 몇 달을 보냈고, 결국 1964년 말 타간카 극장 (그 해 4월 공식적으로 개장)에 합류하여 정기적으로 고용되었지만, 대부분 중요하지 않은 역할이었다.[5] 류비모프가 그녀를 불신한 이유는 여기서 그녀가 처음으로 주연을 맡은, ''우리 시대의 영웅''의 베라 역에서 데미도바가 "비참하게 실패"했기 때문일 것이다. 그 후 수년 동안 군중 장면과 판토마임에서 힘든 작업이 이어졌다. 극장 감독과 그의 여배우 사이의 이러한 주인과 하인과 같은 관계는 수십 년 동안 계속되었다.[10]
1970년대 후반, 데미도바와 블라디미르 비소츠키는 류비모프의 예술적 독재에 불만을 품고 서로에게 끌려, 그들만의 아이디어를 실험하기 위해 짝을 이루었다(한 평론가의 말처럼 "얼음과 불이 충돌"했다).[3] 데미도바는 "우리는 거대하고 화려한 연극 쇼의 시대가 끝나가고 있고, 사적이고 실내 연극의 새로운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는 것을 깨닫기 시작했다."라고 회상했다.[5]
블라디미르 비소츠키와 데미도바의 프로젝트를 염두에 두고, 비탈리 불프는 테네시 윌리엄스의 2인극 ''절규''를 러시아어로 번역했다. 류비모프는 이를 "자아 연출 행위"로 여겼고(원작이 브로드웨이 스타 부부를 위해 쓰여졌다는 점에서), 동료 타간카 배우들은 겉으로 보기에 그들의 보스의 편을 들었다.[5] 데미도바는 나중에 씁쓸하게 "1막이 완성되자, 우리는 지역적으로 광고를 내고 모든 사람들을 초대했다. 단 두 명만 나타났다: [무대 디자이너] 다비드 보로프스키와 그의 친구. 무엇을 기대하겠는가: 그건... 연극이다!"라고 말했다.[10]
이 실험은 장 라신의 ''페드라''를 각색한 그들만의 또 다른 프로젝트와 함께 보류되었다. 몇 달 후, 블라디미르 비소츠키가 사망했다. 그녀는 나중에 "그가 떠나고 나서야 비로소 그가 파트너로서 나에게 얼마나 큰 의미였는지 깨달았다... 그는 특히 마지막 몇 년 동안, 문자 그대로 주변의 공기를 자화하는, 관객을 사로잡는 뛰어난 배우였다."라고 회상했다.[5]
1980년대 초, 데미도바는 자신만의 낭송 쇼를 시작했는데, 각각은 작은 연극처럼 제작되었다.[21] 일부는 소련 텔레비전에 방영되어 인기를 얻었으며, 이고르 마슬렌니코프가 감독한 푸시킨의 ''스페이드 여왕''(1982)에서 그녀는 시를 낭송할 뿐만 아니라 등장인물들을 연기하며 "세 장의 카드 이야기 전체에 백은 시대의 그림자를 드리웠다."[21] 아나톨리 바실리에프와 협력한 영화 ''석고상 손님과 기타 시''에서는 여러 배역을 소화했다.[21] 무대에서는 안나 아흐마토바 (''진혼곡'', ''영웅 없는 시''), 푸시킨, 이반 부닌 등의 시를 낭송했다.[8] 그녀의 공연 연출가였던 데미도바는 이제 독자적인 장르의 스타로 여겨졌다.[10]
데미도바는 주요 영향으로 당시 국립 극장 감독이었던 조르조 스트렐러를 언급했는데, 그는 1987년 5월 에프로스를 그의 두 작품 (''밑바닥에서''와 ''벚꽃 동산'')과 함께 밀라노로 초청했다.[10] 데미도바는 "스트렐러는 솔로 공연을 무대에서 어떻게 연출하고 디자인해야 하는지에 대한 나의 전체적인 비전을 형성했다... 이젤, 촛불, 약간의 음악, 동시 통역 – 이것들은 그의 독창적인 무대 콘셉트의 요소였고, 나는 그것들을 내 것으로 만들었다."라고 회상했다.[10]
류비모프가 서방으로 떠난 후, 데미도바는 타간카에서 점차 물러났다. 1986년 에프로스는 ''벚꽃 동산''을 부활시켜 데미도바를 주연으로 캐스팅했고, 이 작품은 BITEF에서 1등상을 받았다.[23] 류비모프가 돌아오자 데미도바는 타간카로 돌아가 마리나 므니셰크 (''보리스 고두노프'', 1988)와 돈나 안나 (''페스트 속의 연회'', 1989)를 연기했다.[3][9] 1988년 데미도바는 로만 빅튜크와 ''페드라''를 연출했는데, "그 결과는 흥미로웠지만, 타간카의 레퍼토리에 결코 맞지 않았다."고 회상했다.[27] ''페드라''는 1980년대 최고의 소련 연극 작품이자, 빅튜크의 가장 진지한 작품으로 묘사되었다.[29]
1980년대 초, 데미도바는 자신만의 낭송 쇼를 시작했는데, 이는 각각 미니어처 연극처럼 제작되었다.[21] 이 중 일부는 소련 텔레비전에 방영되어 인기를 얻었다. 이고르 마슬렌니코프가 감독한 푸시킨의 ''스페이드 여왕''(1982)에서 그녀는 시 낭송뿐만 아니라 등장인물들을 연기하며 "세 장의 카드 이야기 전체에 백은 시대의 그림자를 드리웠다."[21] 데미도바는 영화 ''석고상 손님과 기타 시''에서 아나톨리 바실리에프와 협력하여 여러 배역을 소화했다.[21] 무대에서는 안나 아흐마토바(''진혼곡'', ''영웅 없는 시''), 푸시킨, 이반 부닌, 다양한 백은 시대 시인들의 시를 낭송했다.[8] 공연 연출가로서 데미도바는 독자적인 장르의 스타로 여겨졌으며, 조르조 스트렐러를 주요 영향으로 언급했다.[10] "단지 음악과 나, 청중으로부터 완전히 소외된 것: 그것이 그 이후로 변함없이 유지된 아이디어였다."라고 데미도바는 2010년 인터뷰에서 말했다.[27]
류비모프가 서방으로 떠난 후, 데미도바는 타간카에서 점차 물러났다. 1986년 에프로스는 ''벚꽃 동산''을 부활시켜 데미도바를 주연으로 캐스팅했고, 이 작품은 BITEF에서 1등상을 받았다.[23] 류비모프가 돌아온 후, 데미도바는 타간카로 돌아가 마리나 므니셰크 (''보리스 고두노프'', 1988)와 돈나 안나 (''페스트 속의 연회'', 1989)를 연기했다.[3][9] 1988년에는 로만 빅튜크와 함께 마리나 츠베타예바의 ''페드라''를 연출했다.[27] ''소련 및 러시아 영화의 현대사''에서 ''페드라''는 1980년대 최고의 소련 연극 작품이자, 빅튜크의 가장 진지한 작품으로 묘사되었다.[29] 1992년 그리스 아테네에서 초연된 소포클레스의 ''엘렉트라''에서 엘렉트라 역을 맡은 공연은 류비모프 아래서의 마지막 공연이 되었다.[9] 극장에서 큰 갈등이 벌어지고 타간카 극장이 둘로 갈라지자 데미도바는 류비모프를 지지했지만, 대립이 타간카의 작품 품질을 저해하기 시작하자 극단을 떠났다.[3][10]
1992년 데미도바는 극단 A를 열고 ''파이드라''를 제작했다. 1993년에는 피에르 쇼데를로 드 라클로의 소설 ''위험한 관계''를 바탕으로 한 하이네르 뮐러의 희곡 ''콰르텟''이 나왔는데, 데미도바가 그리스의 연출가 테오도로스 테르조풀로스와 협력하여 제작했다.[3] ''콰르텟''은 뮐러의 작품을 러시아 관객에게 처음으로 소개했으며, 그 해 러시아 연극계 최고의 초연작 중 하나로 평가받았다.[31] A 극장의 다음 작품인 뮐러의 ''메데이아''는 1996년에 초연되었다.[8] 2001년에는 A 극장과 그리스 아티스 극장의 공동 제작인 ''햄릿 마스터 클래스''가 나왔다.
1990년대에 데미도바는 영화에 출연하여 레뱌드키나(''집착'', 1992), 민친 양(''작은 공주'', 1997), 엘리자베타 알렉세예브나(''보이지 않는 여행자'', 1998) 역을 연기했다.[3] 2000년부터 2002년까지 데미도바는 로라 라이언스 역(''셜록 홈즈를 기억하며'')과 미친 엘사 역(''엘사에게 보내는 편지'')으로 스크린에 출연했다.[10] 보리스 블랭크의 ''타이로프의 죽음''(2004)에서 데미도바는 알리사 코넨 역을 맡았다.[32] 키라 무라토바의 영화 ''튜너''(2005)의 주연을 맡아 데미도바는 니카상과 골든 이글상 여우주연상을 받았다.[10] 이고르 마슬렌니코프의 영화 ''러시아의 돈''(알렉산드르 오스트로프스키 원작)에서 무르자베츠카야 역을, 세르게이 코스틴의 역사 다큐멘터리 ''황후를 기다리며'' (마리아 표도로브나)에 출연한 후, 데미도바는 영화 촬영에 대한 흥미를 잃었다고 선언했다.[33][34]
알라 데미도바는 1962년 1년의 9일에 출연하면서 영화 배우로 데뷔하였다. 이후, ''두 동무가 복무했다''(1968), ''방패와 칼''(1968), ''7월 6일''(1968) 등 여러 영화에 출연하였다. 1970년대에는 ''차이코프스키''(1970), ''모두 왕의 사람들''(1971), ''갈매기''(1972) 와 같은 영화에 출연했다. 또한 안드레이 타르콥스키 감독의 ''거울''(1975)에 출연하기도 했다. 1978년에는 ''세르게이 신부''에, 1979년에는 ''한 잔의 물''에 출연하였다. 1980년대에는 ''스페이드 여왕''(1982), ''크로이체르 소나타''(1987) 등의 영화에 출연하였다. 2000년대에는 ''조율사''(2004)에 출연하였다.
2000년부터 2002년까지 데미도바는 두 번 스크린에 출연했는데, 러시아 TV 드라마 ''셜록 홈즈를 기억하며''에서 로라 라이언스 역과, 블라디미르 비소츠키의 아들 아르카디가 쓴 각본을 바탕으로 한 영화 ''엘사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미친 엘사 역을 맡았다.[10] 2004년 보리스 블랭크의 ''타이로프의 죽음''에서 알리사 코넨 역을 맡았다. 데미도바는 이 역할에 대해 "그 캐릭터에 매료되어 그 역할을 갈망했지만, 영화는 극적인 장면이 전혀 없었고, 각본은 솔직히 말해서 기괴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는 몇 가지를 해냈습니다. 그녀의 목소리와 표현을 재현하여 시각적, 청각적 유사성을 얻었습니다."라고 회고했다.[32] 타이로프 역에는 유리 류비모프가 캐스팅될 예정이었으나, 병으로 미하일 코자코프로 대체되었다.[32]
키라 무라토바의 영화 ''튜너''(2005)에서 주연을 맡아 니카상과 골든 이글상 여우주연상을 받았다.[10] 이고르 마슬렌니코프의 영화 ''러시아의 돈''(알렉산드르 오스트로프스키 원작)에서 무르자베츠카야 역과, 세르게이 코스틴의 역사 다큐멘터리 ''황후를 기다리며'' (마리아 표도로브나)에 출연한 후(두 작품 모두 2006년 개봉),[33] 데미도바는 영화 촬영에 대한 흥미를 잃었다고 선언했다.[34]
2000년대 내내 알라 데미도바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폴란드, 이스라엘 등지에서 정기적으로 시 낭송회를 열었고, 2010년대 초에도 계속했다.[2][3] 2014년 현재, ''블라디미르 비소츠키''(1989), ''내 기억의 속보''(2000), ''아흐마토바의 거울''(2004)을 포함하여 연극에 관한 9권의 책을 출판했다.[2][3]
2. 1. 초기 생애
알라 데미도바는 1936년 9월 29일 모스크바 자모스크보레치예에서 태어나, 오시펜코(현재 사도브니체스카야) 거리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그녀의 아버지 세르게이 알렉세예비치 데미도프는 러시아 산업가 데미도프 가문의 상속자였다.[2] 1932년 대숙청 과정에서 투옥되었지만 곧 무죄로 석방되었다. 1941년 그는 자원하여 붉은 군대에 입대하여 1944년 바르샤바 근처에서 전사했다.[3] 알라의 어머니 알렉산드라 드미트리예브나 데미도바(옛 성은 하르첸코)는 모스크바 대학교 경제학과에서 근무했으며(나중에는 사이버네틱스 및 경제 프로그래밍 부서에서 근무),[4] 어머니와 딸은 제2차 세계 대전 기간을 모스크바 동쪽에 있는 블라디미르에서 보냈다. 데미도바는 "어린 시절 주변 사람들로부터 받은 사랑이 너무 적어서 그 시절을 좋게 기억하지 않는다"고 나중에 고백했다.[5] 그녀는 학교의 아마추어 무대에서 배우로 데뷔하여 첫 성공의 맛을 보았다.[3]2. 2. 타간카 극장 시절
1970년대 후반, 데미도바와 블라디미르 비소츠키는 류비모프의 예술적 독재에 불만을 품고 서로에게 끌려, 그들만의 아이디어를 실험하기 위해 짝을 이루었다(한 평론가의 말처럼 "얼음과 불이 충돌"했다).[3] 데미도바는 "우리는 거대하고 화려한 연극 쇼의 시대가 끝나가고 있고, 사적이고 실내 연극의 새로운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는 것을 깨닫기 시작했다."라고 회상했다.[5]블라디미르 비소츠키와 데미도바의 프로젝트를 염두에 두고, 비탈리 불프는 테네시 윌리엄스의 2인극 ''절규''를 러시아어로 번역했다. 류비모프는 이를 "자아 연출 행위"로 여겼고(원작이 브로드웨이 스타 부부를 위해 쓰여졌다는 점에서), 동료 타간카 배우들은 겉으로 보기에 그들의 보스의 편을 들었다.[5] 데미도바는 나중에 씁쓸하게 "1막이 완성되자, 우리는 지역적으로 광고를 내고 모든 사람들을 초대했다. 단 두 명만 나타났다: [무대 디자이너] 다비드 보로프스키와 그의 친구. 무엇을 기대하겠는가: 그건... 연극이다!"라고 말했다.[10]
이 실험은 장 라신의 ''페드라''를 각색한 그들만의 또 다른 프로젝트와 함께 보류되었다. 몇 달 후, 블라디미르 비소츠키가 사망했다. 그녀는 나중에 "그가 떠나고 나서야 비로소 그가 파트너로서 나에게 얼마나 큰 의미였는지 깨달았다... 그는 특히 마지막 몇 년 동안, 문자 그대로 주변의 공기를 자화하는, 관객을 사로잡는 뛰어난 배우였다."라고 회상했다.[5]
2. 2. 1. 블라디미르 비소츠키와의 관계
1970년대 후반, 데미도바와 블라디미르 비소츠키는 류비모프의 예술적 독재에 불만을 품고 서로에게 끌려, 그들만의 아이디어를 실험하기 위해 짝을 이루었다(한 평론가의 말처럼 "얼음과 불이 충돌"했다).[3] 데미도바는 "우리는 거대하고 화려한 연극 쇼의 시대가 끝나가고 있고, 사적이고 실내 연극의 새로운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는 것을 깨닫기 시작했다."라고 회상했다.[5]블라디미르 비소츠키와 데미도바의 프로젝트를 염두에 두고, 비탈리 불프는 테네시 윌리엄스의 2인극 ''절규''를 러시아어로 번역했다. 류비모프는 이를 "자아 연출 행위"로 여겼고(원작이 브로드웨이 스타 부부를 위해 쓰여졌다는 점에서), 동료 타간카 배우들은 겉으로 보기에 그들의 보스의 편을 들었다.[5] 데미도바는 나중에 씁쓸하게 "1막이 완성되자, 우리는 지역적으로 광고를 내고 모든 사람들을 초대했다. 단 두 명만 나타났다: [무대 디자이너] 다비드 보로프스키와 그의 친구. 무엇을 기대하겠는가: 그건... 연극이다!"라고 말했다.[10]
이 실험은 장 라신의 ''페드라''를 각색한 그들만의 또 다른 프로젝트와 함께 보류되었다. 몇 달 후, 블라디미르 비소츠키가 사망했다. 그녀는 나중에 "그가 떠나고 나서야 비로소 그가 파트너로서 나에게 얼마나 큰 의미였는지 깨달았다... 그는 특히 마지막 몇 년 동안, 문자 그대로 주변의 공기를 자화하는, 관객을 사로잡는 뛰어난 배우였다."라고 회상했다.[5]
2. 3. 에프로스와의 만남
1980년대 초, 데미도바는 자신만의 낭송 쇼를 시작했는데, 각각은 작은 연극처럼 제작되었다.[21] 일부는 소련 텔레비전에 방영되어 인기를 얻었으며, 이고르 마슬렌니코프가 감독한 푸시킨의 ''스페이드 여왕''(1982)에서 그녀는 시를 낭송할 뿐만 아니라 등장인물들을 연기하며 "세 장의 카드 이야기 전체에 백은 시대의 그림자를 드리웠다."[21] 아나톨리 바실리에프와 협력한 영화 ''석고상 손님과 기타 시''에서는 여러 배역을 소화했다.[21] 무대에서는 안나 아흐마토바 (''진혼곡'', ''영웅 없는 시''), 푸시킨, 이반 부닌 등의 시를 낭송했다.[8] 그녀의 공연 연출가였던 데미도바는 이제 독자적인 장르의 스타로 여겨졌다.[10]데미도바는 주요 영향으로 당시 국립 극장 감독이었던 조르조 스트렐러를 언급했는데, 그는 1987년 5월 에프로스를 그의 두 작품 (''밑바닥에서''와 ''벚꽃 동산'')과 함께 밀라노로 초청했다.[10] 데미도바는 "스트렐러는 솔로 공연을 무대에서 어떻게 연출하고 디자인해야 하는지에 대한 나의 전체적인 비전을 형성했다... 이젤, 촛불, 약간의 음악, 동시 통역 – 이것들은 그의 독창적인 무대 콘셉트의 요소였고, 나는 그것들을 내 것으로 만들었다."라고 회상했다.[10]
류비모프가 서방으로 떠난 후, 데미도바는 타간카에서 점차 물러났다. 1986년 에프로스는 ''벚꽃 동산''을 부활시켜 데미도바를 주연으로 캐스팅했고, 이 작품은 BITEF에서 1등상을 받았다.[23] 류비모프가 돌아오자 데미도바는 타간카로 돌아가 마리나 므니셰크 (''보리스 고두노프'', 1988)와 돈나 안나 (''페스트 속의 연회'', 1989)를 연기했다.[3][9] 1988년 데미도바는 로만 빅튜크와 ''페드라''를 연출했는데, "그 결과는 흥미로웠지만, 타간카의 레퍼토리에 결코 맞지 않았다."고 회상했다.[27] ''페드라''는 1980년대 최고의 소련 연극 작품이자, 빅튜크의 가장 진지한 작품으로 묘사되었다.[29]
2. 4. 독립 이후의 활동
1980년대 초, 데미도바는 자신만의 낭송 쇼를 시작했는데, 이는 각각 미니어처 연극처럼 제작되었다.[21] 이 중 일부는 소련 텔레비전에 방영되어 인기를 얻었다. 이고르 마슬렌니코프가 감독한 푸시킨의 ''스페이드 여왕''(1982)에서 그녀는 시 낭송뿐만 아니라 등장인물들을 연기하며 "세 장의 카드 이야기 전체에 백은 시대의 그림자를 드리웠다."[21] 데미도바는 영화 ''석고상 손님과 기타 시''에서 아나톨리 바실리에프와 협력하여 여러 배역을 소화했다.[21] 무대에서는 안나 아흐마토바(''진혼곡'', ''영웅 없는 시''), 푸시킨, 이반 부닌, 다양한 백은 시대 시인들의 시를 낭송했다.[8] 공연 연출가로서 데미도바는 독자적인 장르의 스타로 여겨졌으며, 조르조 스트렐러를 주요 영향으로 언급했다.[10] "단지 음악과 나, 청중으로부터 완전히 소외된 것: 그것이 그 이후로 변함없이 유지된 아이디어였다."라고 데미도바는 2010년 인터뷰에서 말했다.[27]류비모프가 서방으로 떠난 후, 데미도바는 타간카에서 점차 물러났다. 1986년 에프로스는 ''벚꽃 동산''을 부활시켜 데미도바를 주연으로 캐스팅했고, 이 작품은 BITEF에서 1등상을 받았다.[23] 류비모프가 돌아온 후, 데미도바는 타간카로 돌아가 마리나 므니셰크 (''보리스 고두노프'', 1988)와 돈나 안나 (''페스트 속의 연회'', 1989)를 연기했다.[3][9] 1988년에는 로만 빅튜크와 함께 마리나 츠베타예바의 ''페드라''를 연출했다.[27] ''소련 및 러시아 영화의 현대사''에서 ''페드라''는 1980년대 최고의 소련 연극 작품이자, 빅튜크의 가장 진지한 작품으로 묘사되었다.[29] 1992년 그리스 아테네에서 초연된 소포클레스의 ''엘렉트라''에서 엘렉트라 역을 맡은 공연은 류비모프 아래서의 마지막 공연이 되었다.[9] 극장에서 큰 갈등이 벌어지고 타간카 극장이 둘로 갈라지자 데미도바는 류비모프를 지지했지만, 대립이 타간카의 작품 품질을 저해하기 시작하자 극단을 떠났다.[3][10]
1992년 데미도바는 극단 A를 열고 ''파이드라''를 제작했다. 1993년에는 피에르 쇼데를로 드 라클로의 소설 ''위험한 관계''를 바탕으로 한 하이네르 뮐러의 희곡 ''콰르텟''이 나왔는데, 데미도바가 그리스의 연출가 테오도로스 테르조풀로스와 협력하여 제작했다.[3] ''콰르텟''은 뮐러의 작품을 러시아 관객에게 처음으로 소개했으며, 그 해 러시아 연극계 최고의 초연작 중 하나로 평가받았다.[31] A 극장의 다음 작품인 뮐러의 ''메데이아''는 1996년에 초연되었다.[8] 2001년에는 A 극장과 그리스 아티스 극장의 공동 제작인 ''햄릿 마스터 클래스''가 나왔다.
1990년대에 데미도바는 영화에 출연하여 레뱌드키나(''집착'', 1992), 민친 양(''작은 공주'', 1997), 엘리자베타 알렉세예브나(''보이지 않는 여행자'', 1998) 역을 연기했다.[3] 2000년부터 2002년까지 데미도바는 로라 라이언스 역(''셜록 홈즈를 기억하며'')과 미친 엘사 역(''엘사에게 보내는 편지'')으로 스크린에 출연했다.[10] 보리스 블랭크의 ''타이로프의 죽음''(2004)에서 데미도바는 알리사 코넨 역을 맡았다.[32] 키라 무라토바의 영화 ''튜너''(2005)의 주연을 맡아 데미도바는 니카상과 골든 이글상 여우주연상을 받았다.[10] 이고르 마슬렌니코프의 영화 ''러시아의 돈''(알렉산드르 오스트로프스키 원작)에서 무르자베츠카야 역을, 세르게이 코스틴의 역사 다큐멘터리 ''황후를 기다리며'' (마리아 표도로브나)에 출연한 후, 데미도바는 영화 촬영에 대한 흥미를 잃었다고 선언했다.[33][34]
2000년대 내내 알라 데미도바는 정기적으로 시 낭송회를 열었고, 2014년 현재 연극에 관한 9권의 책을 출판했다.[2][3]
2. 5. 영화 활동
알라 데미도바는 1962년 1년의 9일에 출연하면서 영화 배우로 데뷔하였다. 이후, ''두 동무가 복무했다''(1968), ''방패와 칼''(1968), ''7월 6일''(1968) 등 여러 영화에 출연하였다. 1970년대에는 ''차이코프스키''(1970), ''모두 왕의 사람들''(1971), ''갈매기''(1972) 와 같은 영화에 출연했다. 또한 안드레이 타르콥스키 감독의 ''거울''(1975)에 출연하기도 했다. 1978년에는 ''세르게이 신부''에, 1979년에는 ''한 잔의 물''에 출연하였다. 1980년대에는 ''스페이드 여왕''(1982), ''크로이체르 소나타''(1987) 등의 영화에 출연하였다. 2000년대에는 ''조율사''(2004)에 출연하였다.2. 6. 후기 활동 및 저술
2000년부터 2002년까지 데미도바는 두 번 스크린에 출연했는데, 러시아 TV 드라마 ''셜록 홈즈를 기억하며''에서 로라 라이언스 역과, 블라디미르 비소츠키의 아들 아르카디가 쓴 각본을 바탕으로 한 영화 ''엘사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미친 엘사 역을 맡았다.[10] 2004년 보리스 블랭크의 ''타이로프의 죽음''에서 알리사 코넨 역을 맡았다. 데미도바는 이 역할에 대해 "그 캐릭터에 매료되어 그 역할을 갈망했지만, 영화는 극적인 장면이 전혀 없었고, 각본은 솔직히 말해서 기괴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는 몇 가지를 해냈습니다. 그녀의 목소리와 표현을 재현하여 시각적, 청각적 유사성을 얻었습니다."라고 회고했다.[32] 타이로프 역에는 유리 류비모프가 캐스팅될 예정이었으나, 병으로 미하일 코자코프로 대체되었다.[32]키라 무라토바의 영화 ''튜너''(2005)에서 주연을 맡아 니카상과 골든 이글상 여우주연상을 받았다.[10] 이고르 마슬렌니코프의 영화 ''러시아의 돈''(알렉산드르 오스트로프스키 원작)에서 무르자베츠카야 역과, 세르게이 코스틴의 역사 다큐멘터리 ''황후를 기다리며'' (마리아 표도로브나)에 출연한 후(두 작품 모두 2006년 개봉),[33] 데미도바는 영화 촬영에 대한 흥미를 잃었다고 선언했다.[34]
2000년대 내내 알라 데미도바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폴란드, 이스라엘 등지에서 정기적으로 시 낭송회를 열었고, 2010년대 초에도 계속했다.[2][3] 2014년 현재, ''블라디미르 비소츠키''(1989), ''내 기억의 속보''(2000), ''아흐마토바의 거울''(2004)을 포함하여 연극에 관한 9권의 책을 출판했다.[2][3]
3. 주요 작품
알라 데미도바는 여러 영화에 출연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1962년 작 ''1년의 9일''과 1968년 작 ''두 동무가 복무했다'', ''방패와 칼'', ''7월 6일''이 있다. 1970년대에는 ''차이코프스키''(1970), ''모두 왕의 사람들''(1971), ''갈매기''(1972), ''맥킨리 씨의 비행''(1975), ''거울''(1975), ''세르게이 신부''(1978) 등에 출연했다. 1979년에는 ''한 잔의 물''에 출연했다. 1980년대에는 ''스페이드 여왕''(1982), ''크로이체르 소나타''(1987)에 출연했으며, 2004년에는 ''조율사''에 출연했다.
3. 1. 연극
3. 2. 영화
알라 데미도바는 1962년 1년의 9일에 출연하였다. 1968년에는 두 동무가 복무했다, 방패와 칼, 7월 6일에 출연하였다. 1970년에는 차이코프스키에 출연하였고, 1971년에는 모두 왕의 사람들에 출연하였다. 1972년 갈매기에 출연하였고, 1975년에는 맥킨리 씨의 비행과 거울에 출연하였다. 1978년에는 세르게이 신부에 출연하였고, 1979년 한 잔의 물에 출연하였다. 1982년 스페이드 여왕에 출연하였고, 1987년에는 크로이체르 소나타에 출연하였다. 2004년에는 조율사에 출연하였다.4. 수상 경력
알라 데미도바는 1977년 영화 ''맥킨리 씨의 비행''에서의 연기로 소련 국가상을 수상했다. 1984년에는 RSFSR 인민 예술가 칭호를 받았다. 1993년에는 스타니슬라브스키 상을 수상했다.
1997년에는 "국가에 대한 공로와 국민 간의 우호 및 협력 강화에 대한 중요한 기여, 예술 및 문화 분야에서의 다년간의 결실 있는 활동"으로 우호 훈장을 받았다. 2001년에는 2000년 러시아 연방 대통령의 예술 및 문학 분야 특별 공헌상을 수상했다. 2005년에는 키라 무라토바의 ''튜너''에서의 연기로 니카 상과 골든 이글 상을 수상했다.
조국 훈장은 2007년에 4등급( "국가 문화 및 예술 발전에 대한 공헌, 창작 활동의 장수"), 2011년에 3등급("국내 연극 및 영화 예술 발전에 대한 공헌, 창작 활동의 장수")을 수여받았다. 2009년에는 "예술에 대한 헌신적인 봉사"로 "우상" 상을 수상했다. 2011년에는 올해의 러시아 국민상을 수상했다.[35]
5. 평가 및 영향
참조
[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Russian and Soviet Cinema
Rowman & Littlefield
[2]
웹사이트
She Ages Beautifully Too
http://www.demidova.[...]
www.demidova.ru
2010-03-22
[3]
웹사이트
Alla Demidova. Biography
http://www.demidova.[...]
www.demidova.ru
2010-03-22
[4]
웹사이트
Alla With a Doggie
http://www.demidova.[...]
[5]
서적
One's Memory Running Line
http://yanko.lib.ru/[...]
Eksmo-Press
[6]
Youtube
Alla Demidova. As the Night Time Approaches
https://www.youtube.[...]
[7]
웹사이트
Actress Alla Demidova. First Royalties Paid me a Shoe-maker.
http://www.newizv.ru[...]
Novyie Izvestiya
2010-03-22
[8]
웹사이트
Demidova, Alla Sergeevna
http://www.krugosvet[...]
Krugosvet (Around the World) Encyclopedia (Russia)
2010-03-22
[9]
웹사이트
Alla Demidova in Theatre
http://www.demidova.[...]
www.demidova.ru.
2010-03-22
[10]
뉴스
Alla Demidova: "I’ve been befriended by real geniuses"
https://zwezda.ru/de[...]
Kultura (newspaper, Russia)
2006
[11]
간행물
Alla Demidova: 'Why do I want to play Hamlet'
http://www.demidova.[...]
Yunost
1968-08
[12]
웹사이트
Alla Demidova's hands are like those of Plisetskaya
http://www.demidova.[...]
www.gzt.ru (Gazeta)
2010-03-22
[13]
웹사이트
The Other Cinema. Alla Demidova
http://www.inoekino.[...]
www.inoekino.ru
2010-05-26
[14]
웹사이트
Vladimir Vengerov
http://funeral-spb.n[...]
funeral-spb.narod.ru
2010-05-03
[15]
웹사이트
The Fate of the Comedy. Tartuffe at Taganka
http://taganka.theat[...]
Taganka Theatre site
2010-03-22
[16]
웹사이트
The Flute of Hamlet. Images of the Modern Theatre
http://www.russianci[...]
www.russiancinema.ru
2010-05-03
[17]
웹사이트
Two Roles of Alla Demidova
http://www.demidova.[...]
Avrora (magazine), No.4, 1975
2010-05-18
[18]
웹사이트
"One Fine Day" (fragment)
http://www.demidova.[...]
Sovetsky Pisatel. Landscapes and Portraits
2010-01-07
[19]
웹사이트
"Tchayka" by Alla Demodova
http://www.demidova.[...]
Ekran (The Screen) magazine
2010-05-18
[20]
웹사이트
All the King's Men
http://www.kino-teat[...]
www.kino-teatr.ru
2010-03-22
[21]
웹사이트
Hamlet Approaches the Sea
http://www.demidova.[...]
www.demidova.ru
2010-01-07
[22]
웹사이트
The Glass of Water (Stakan vody)
http://ruskino.ru/mo[...]
ruskino.ru
2010-08-13
[23]
웹사이트
Lyubov Andreevna Ranevskaya as a Silver Age Woman
http://www.demidova.[...]
Proscenium. Voprosy Teatra
2010-05-18
[24]
웹사이트
The Cherry Orchard. Anatoly Efros' production
http://www.demidova.[...]
The Theatre Storylines Iskusstvo Publishers, 1990
2010-05-18
[25]
웹사이트
Oleg Grigoryevich Tchukhontsev
http://www.demidova.[...]
www.demidova.ru
2010-03-22
[26]
웹사이트
"Boris Godunov" production at Taganka Theatre
http://www.demidova.[...]
www.demidova.ru
2010-05-18
[27]
웹사이트
Our profession is scrambling up a smooth wooden plane
https://day.kyiv.ua/[...]
www.day.kyiv.ua
2010-05-18
[28]
웹사이트
The Lady at Winter (All Stand Still! compilation)
http://www.demidova.[...]
Amphora Publishers, Saint Petersburg
2010-03-22
[29]
웹사이트
The Film and the Context. Vol.IV
http://www.demidova.[...]
The Modern History of the Russian Cinema. 1986–2000. Saint Petersburg, Seans Publishers
2010-05-18
[30]
웹사이트
What's That Electra to Us?
https://www.youtube.[...]
Literaturnaya Gazeta, No.42 (5419)
2010-05-18
[31]
웹사이트
Theatre Without Catharsis
http://www.demidova.[...]
Ekran y Stsena (Screen and Scene, newspaper), No. (161)
2010-05-18
[32]
웹사이트
Alla Demidova in The Tuner
http://www.demidova.[...]
[33]
웹사이트
To Play for Dionis
http://www.demidova.[...]
Rossiya (newspaper)
2010-05-17
[34]
웹사이트
Talent Vs. Character.
http://www.demidova.[...]
Nezavisimaya Gazeta
2010-05-03
[35]
문서
«Россиянин года» на сайте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бизнеса и предпринимательства
http://ex.ru/conten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